top of page

Big Mouth, single channel video installation, sound, 28 min., 1996

On the Crisis of Modernity

Jo Kwang-suk, art critic

Artists interpret the world through their own visual messages. The reality projected in their works is the world modulated by their own outlooks. Viewers can capture the scope and depth of artists perceptions of the world. Some artists attempt to take an active hand in social affairs, instead of being satisfied with a passive standpoint. In the works of these artists, viewers often can see that the concrete visual elements in their works are actually clues to their discourse.

This is Oh Sang-gyel's favorite artistic strategy. Most of his works reflect the reality he has been through. Each of his three most recent solo exhibitions held in Seoul, Suwon, and Chongju has had a different theme and style, yet they all are broadly united in the same discourse. Sometimes, because he is dealing with real social problems, his works appear at first glance to be only about social phenomena. This is particularly true of the theme of prisoners hair presented in his third solo exhibition and the theme of his fifth solo exhibition. But if one carefully scrutinizes his works, it is noticeable that he is not approaching reality one-sidedly. Even though he discloses the problems buried under the facade of the social system and makes viewers perplexed by expressing negative and critical feelings about society through his themes or objets, still his works are not intended just to reveal the dark side of reality or to instigate people. Being skeptical about extreme radicals and intellectual systems and derived from blind beliefs or exaggerated values in reality and history, he takes a position that he only aims to reject such intellectual systems only mentions social phenomena what he can tell whether they are right or wrong. But what is most important in his works is that his activities are grounded on his brave, nearly reckless challenge to swim against the maelstrom of the current society around him. His has not been an even tenor of life. But he has followed his way with firm determination and with no regrets. He has placed greater emphasis on procedure than on results. The occupation of an artist has always been to be an outsider, so that he already expected adversity from the very beginning when he made his choice to become an artist. In other words, he has to be faithful to himself even though his struggle to live up to his beliefs appears to be a quixotic comedy.

 

 

 

 

 

 

 

 

 

 

 

 

           

 

In his three exhibitions held one after another in April, May, and June of this year, the core medium linking Oh Sang-gyel's works became his own body. Perhaps the first time the artist introduced his body as his medium was for his AH Kwangju, presented in a special exhibition at the Kwangju Biennale. Part of his crouched body, nearly motionless like a still life, was shown on the monitor set on the stage. His body on the screen seemed to be almost moving, hesitatingly and subtly, but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ture over and over again. Going against the characteristics of TV, which is premised on the concept of time and moving frames, the artist confined viewers minds to the dark monitor. But his performances in his exhibitions this year seem to display a more active approach. Epilog, LODZ GHETTO was performed in a blue-lit room with a wire-fenced corridor. In front of the wall on which was hung blue-neon letters saying GHETTO, the artist stood before a dais made of iron bars and two metal plates, repeatedly performed very slow but tense symbolic gestures, and sometimes seemed to be convulsed with tremendous pain. LODZ GHETTO is the place in Poland where the Nazis first started clamp down on the Jews. So the artist's performance in the wire-fenced space naturally reminds viewers of the Nazis brutal and fearful persecution of the Jews, immediately oppressing viewers minds and making them face this painful and heavy chapter of history. The electric fence and the mysterious, rather cool blue light give no clue to the theme. But in this 17-minute performance as an epilog I could detect his agony about the illness of modern society. It seems that he intended to suggest the extreme contradiction of humanity in the historical incident of the Nazis' brutal persecution of the Jews and the continuation of the phenomena after the Nazis collapse.

 

 

 

 

 

 

 

 

 

 

 

                                                                                  

 

Big Mouth, his second solo exhibition in 1996, in Suwon, presents very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Epilog, LODZ GHETTO. In the middle of the dark exhibition hall was set a huge screen showing a gigantic mouth crying out and laughing explosively, or tensing to show all the teeth, sticking out the tongue, wiggling it about, and biting it until it becomes black because of blocked circulation. The amplified sound was so loud that it hurt viewers ears and they could not hear what the Big Mouth was talking about. They experienced the force of coercion, pain, and disgust. However, the reproduced images and sounds are manipulated and exaggerated by mechanical devices. What viewers experience is definitely part of the artist's premeditated intention. So they naturally focus on the artist's clear intention. He emphasizes that the Big Mouth is his own mouth and that nobody can take his place. He says that the reason he presented these two exhibitions reminiscent of his body performance in the previous Epilog, LODZ GHETTO and the reason he shot his own movements to present on the screen was to extend body performance. In other words, his own performance is the important element in his works. The loud shout is the maximum sound he could make after taking the deepest breath. He explains that his closing or opening of his mouth, or his sticking out of his tongue and driveling saliva, are sequences of the maximum movements he can make with his mouth. Yet, Big Mouth, which reminds viewers of some absolute dictator with its visual and sound effects, is in extraordinary contrast with the restrained performance of Epilog, LODZ GHETTO.

Oh Sang-gyel's exhibition Like the Buddha's Mind, held in Chongju, embodies his intention to peform before the TV monitor and record his movements on the very spot in the exhibition hall. Keeping in mind the camera installed in the corner of the hall, he moves in calculated ways to present his body, in long shots or close-ups. All his movements are shown only partially on the monitor. His movements with tensed and restrained gestures give viewers different feelings than the previous two exhibitions. The exhibition hall is empty except for the artist standing in the middle of the hall facing two monitors. There are no spectators. The floor is just lined with masking tape to indicate the sequence of his performance. The TV monitor shows a desolate and forlorn floor or empty wall for a while, then suddenly cuts to the partial body of the artist wearing black clothes for a moment, then return to the empty state again, and repeats the cycle.

Giving the impression of extremely restrained expression of sentiment, the word "Buddha" was continuously lingering in my head. There was nothing in particular to see, but one could not help but pay attention to the movements of the artists captured by the camera on the screen. The screen features the artist just standing still and sitting so that he appear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in the frame like a geometrical composition on canvas. Only the'feeling throughout the performance of boredom, which creates a weird tension, and the feeling of emptiness make viewers meditate on the theme of the Buddha's mind and immerse them in unconsciously following the artist's repeated movements without any feeling of seeing something.

 

 

 

 

 

 

 

 

 

 

 

                                                                                                                    

 

 

 

One can not know what these three exhibitions mean to the artist himself. Considering the fact that Oh Sang-gyel held three different exhibitions presenting different traits one after another at one-month intervals, while most artists pour years of preparation into their solo exhibitions, it is not a light matter, even though he has a tremendous passion for work.

Through his serial works Oh Sang-gyel has given people messages about reconsidering art, society, and ways of thinking. Most of his works presented in the recent exhibitions are connec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stic works and practical activities in real life and deal with the distance between social phenomena and people's recognition of society, in a manner which is similar to that of the stucturalists. Especially he expresses his messages with performance, using his own body directly as a medium in his works. Simultaneously he suggests his social position and attitude as an artist thrown into this current society full of egoism and absurdities. He leaves scenes of emptiness and times of silence in the TV monitors.

 

 

 

 

 

 

현대성의 위기와 암시

조광석(미술평론)

작가는 자신의 시각으로 해석한 세상을 제시한다. 그러므로 우리가 보는 작품 속에서의 현실은 작가의 시각으로 조정된 세계이며, 이것을 통해 우리는 그 작가의 인식과 감수성의 방향과 수위를 보게 된다. 또 어떤 작가는 자신의 외부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에 대해 수동적 입장을 취하기 보다 그 현상들에 자신의 인식과 실천을 첨가함으로써 적극적 개입을 의도하기도 한다. 이때 우리는 작가에 의해 제시된 작품이라는 대상물의 형태form 속에 나타나는 구체적인 시각적 요소들이 정작 '담론'을 유도하기 위한 단서나 수단으로 차용되고 있음을 종종 목격하게 된다 이러한 전략을 즐겨 사용하는 작가가 오상길이다. 그의 작업들은 대부분 자신이 겪고 있는 현실에 대한 어떤 입장표명의 성격을 띠곤 한다. 서울과 수원, 그리고 청주로 이어진 세 번의 개인전 작품들은 각기 다른 테마와 형식으로 이루어졌지만, 결국 하나의 커다란 '담론'으로 통합되는 특징을 띠고 있다. 그의 작업들은 때때로 현실적인 상황들을 차용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다분히 사회적 현상들에 대한 언급처럼 보이기도 한다. 3회 개인전에 선택되었던 죄수들의 머리카락이나 이번 서울에서 열렸던 5회 개인전의 테마 같은 것들이 특히 그러하다. 그러나 그의 작품들을 세심히 살펴보면 이러한 현실에의 접근이 결코 단선적이지 않다는 점에 주목하게 된다. 그는 테마나 오브제들의 선택을 통해 우리를 현실, 혹은 현상들의 조직적이고 구조적인 문제들에 접근시키며, 내용적으로 비판적이고 결론적으로도 늘 부정적인 위기감을 제시하여 당혹 감을 갖게 하지만, 이 어두움은 결코 현실의 모순을 고발한다거나 혹은 선동적인 모습을 갖고 있지 않다. 역사나 현실에 종종 부여되는 과장된 신념이나 가치들에 근거하는 지적체계들을 의심하여, 부정 그 자체를 목표로 세우고 오직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현상에 대해 언급할 수 있을 뿐이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중요한 것은 그의 이 모든 태도들이 그 자신을 둘러싼 현실의 격랑과 싸우며 바로 서 보려는 무모한 도전에서 비롯된다는 점이다. 그는 자신이 걸어온 작가로서의 길이 결코 순탄치 못한 것이었지만 후회할 수 없는 실천이었으며, 자신은 언제나 어떤 결론에 도달하는 것보다 그 과정을 중요하게 받아들여 왔음을 강조하고 있다. 작가라는 사회적 존재는 영원한 이방인이며 이미 작가의 길을 선택했을 때 이런 결과가 예정되어 있었다는 것이다. 자신의 신념과 현재적 삶을 일치시켜 보려는 안간힘이 세상에는 설령 돈키호테 같은 희극으로 비친다 하더라도 정작 그 자신은 스스로에게 진지할 수밖에 없다는 말이리라. 이번 4월과 5월, 그리고 6월에 있었던 세 번의 전람회에는 공통적으로 작가 자신의 신체가 중요한 매개물로 등장한다. 그가 자신의 신체를 등장시킨 최초의 작품이 아마도 광주비엔날레 특별전에 출품되었던 <Ah, Kwangju>였을 것이다. 두 대의 모니터 안에 웅크린 신체의 부분들이 마치 멈춘 듯이 등장하고 있었던 작품이었다. 움직일 듯 움직일 듯 하면서 다시 원상태로 돌아가 버리곤 하던 그 장면들은 시간성과 움직임을 전제로 하는 TV의 특성을 거꾸로 거슬림으로써 관람자들의 마음을 그 검은 모니터 상자 안에 가두어 놓고 있었던 작품이었다. 그러나 이번 전람회들에서 보여준 그의 퍼포먼스들은 그때보다 더 적극적인 성격과 형태를 갖고 있는 듯 하다. <epilog, "LODZ GHETTO">의 퍼포먼스는 블랙라이트에 의한 형광색 푸른 빛 속의 강철 선으로 차단된 두 공간 사이에서 이루어졌다. 복도 정면 벽에 걸려있는 푸른색 네온으로 만들어진 'GHETTO' 앞에서, 두 쪽의 철판과 철봉으로 만든 가느다란 대(臺) 위의 성서 뒤에서, 매우 느리고 긴장된 동작들을 반복하며 때론 무엇인가를 연상시키는 상징적인 자세를 취하기도 하고, 때론 몸을 뒤틀어 고통스러운 자세를 취하기도 한다. < LODZ GHETTO>는 나치가 폴란드를 침공하여 최초의 유태인 탄압을 시작했던 장소이다. 때문에 이 테마는 설정된 공간과 퍼포먼스를 유태인 박해에 관한 저 잔혹한 역사적 공포와 관련짓게 하고, 단숨에 우리를 무겁고 고통스러운 역사적 사실에 맞닥뜨리게 한다. 그러나 전류를 흘려보내고 있는 강철 선들도, 신비롭고 서늘한 푸른 형광 빛도 이 테마와 관련된 어떠한 결론으로서의 해답을 얻는데 도움을 주지 못한다. 다만 그가 epilog로서의 의미를 부여한 17분간의 퍼포먼스에서 필자는 모더니티의 사회적 병리현상들에 관한 갈등이라는 단서를 발견할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우리는 그의 의도가 유태인이라는 구체적인 인종집단에게 가해졌던 역사적 사건을 전제로 휴머니티의 극단적인 모순을 제시하려는데 있으며, 나치의 패망으로 종결된 사건으로 치부될 수 없는 연속선상의 여전히 진행 중인 현상임을 말하고자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 같다.

 

 

 

 

 

 

 

 

 

 

                                                          

 

 

 

 

수원에서 있었던 96년의 두번째의 개인전 <BIG MOUTH>는 일단 외형상 <epilog, " LODZ GHETTO">와 다른 형태적 특징을 갖고 있다. 이 작품은 깜깜한 전시장 공간 한가운데 설치된 커다란 영사막 위로 거대한 입이 등장하여 소리를 지르고 웃는가 하면, 힘껏 입 주변의 근육을 끌어당겨 치아를 온통 드러내어 놓다가, 혀를 있는 대로 길게 빼 내어 이리저리 움직이고, 피가 통하지 않아 혀끝이 검게 변할 때까지 혀를 물고 있기도 한다. 너무나 큰 소리 때문에 귀가 아플 정도였으며, 이 때문에 관람자들은 <BIG MOUTH>가 무엇에 관하여 독백하고 있는지 알아들을 수 없다. 이 전람회장 안에서 관람자들은 위압감과 고통스러움, 그리고 혐오를 체험하게 된다. 하지만 이 모든 장치들은 기계적으로 재생된 허상이요 소리인 것이다. 따라서 이 작품 앞에서 관람자들이 안게 되는 이 체험들은 필경 그에 의해 계산된 구상의 한 부분일 것이며, 그 때문에 우리는 더욱 명백히 강조되어질 수밖에 없는 작가의 의도에 주목하게 된다. 그는 화면의 <BIG MOUTH>가 자신의 입이며 이 배역은 결코 다른 사람의 그것으로 대역 될 수 없는 것임을 강조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epilog, " LODZ GHETTO">의 신체성을 다시 환기시킴으로써 이 두 작품 사이에 어떤 관계를 설정하고 있음을 암시하고, 자신이 스스로를 촬영하여 출연시키는 의도가 바로 퍼포먼스의 연장이 되게 하기 위해서 라고 말함으로써, 이 일련의 작업에 자신의 신체개입이 중요한 단서임을 밝힌다. 그는 필자가 들은 그 고함 소리가 자신으로서는 가능한 한 호흡의 최대치이자 최대한의 큰소리이며, 입을 벌리고 오므리기도 하고, 혀를 빼 내밀고 침을 흘리는 등의 장면들 또한 자신의 신체, 그러니까 입 주변의 근육을 최대한 끌어당기고 내미는 동작의 연속이라고 설명한다. 어떤 절대적 카리스마를 떠올리게 되는 투사된 이미지로서의 <BIG MOUTH>는 어둡고 푸른 빛 사이에 감추어진 GHETTO의 퍼포먼스와 묘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

청주에서 열렸던 <like the Buddha's mind>에서는 작가 자신의 신체와 TV 모니터와의 관계 설정을 현장에서 퍼포먼스와 그 장면을 녹화함으로써 구체화한다. 이 작업에서 작가는 화랑의 한 쪽 구석에 놓인 카메라를 의식하면서 자기 신체의 일부를 화면의 한쪽 구석에 등장시키고, 또 사라지게 한다. 카메라를 중심으로 작가의 행위는 화면 속에서 멀리, 또는 가까이 접근하지만 정작 이 동작들은 화면의 일부분에만 등장하고 있다. 매우 절제된 그러나 긴장을 수반하고 있는 이 행위들은 앞의 두 전람회의 그것과는 사뭇 다른 정서를 갖는다. 전시장은 텅 비어 있다. 두 대의 모니터만이 뎅그러니 서로 뚝 떨어져 마주보고 있을 뿐, 관람자들도 작가도 없다. 다만 전시장의 바닥에는 작가가 퍼포먼스를 진행하면서 위치와 방향을 표시하기 위해 붙여 놓았던 머스킹테이프가 그대로 남아 있을 뿐이었다. TV모니터마저도 그 썰렁하고 황량한 전시장 바닥 면과 텅 빈 벽면만을 오래도록 재생하다가 불쑥 한 귀퉁이에 검은 옷을 입고 등장하는 신체의 한 부분을 잠시 보여 주곤 또다시 빈 공간으로 돌아간다. 극도로 억제된 감성적 표현 속에 <Buddha>라는 단어가 머릿속을 뱅뱅 맴돌고 있었다. 우리는 이 작품을 보며 달리 볼 것이 없으므로 도리 없이 작가 자신의 신체와 카메라의 관계에 의해 빚어진 네모꼴의 화면에 주목하게 된다. 화면에 등장하는 작가의 동작들은 그저 서 있거나 앉아 있는, 수직과 수평으로 이루어진 화면의 가장자리에 평행 관계를 이루며, 마치 캔버스에 그림을 그리듯 마치 선처럼 혹은 면처럼 나타난다. 이상한 긴장감을 주는 지루함과 무엇인가를 암시하는 듯한 공허함만이 이 작업의 의미를 쫓게 만들어, 무엇인가를 보았다는 느낌보다 테마로 제시된 <Buddha의 마음>에 관한 사유와 신체의 반복적인 동작을 병치시키고 있는 의도를 쫓고 있는 묘한 기분에 빠져들게 한다.
이 세 번의 개인전들이 작가 자신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 알 수 없지만, 대부분의 작가들이 한 해, 혹은 몇 해를 준비하여 조심스럽게 열곤 하는 개인전을 올해 들어 한달 간격으로, 그것도 서로 다른 특성이 강조된 전람회를 연달아 개최한다는 것은 그의 왕성한 창작 욕구를 고려한다 해도 쉽게 보아 넘길 수 없는 일이다.
오상길은 그간 일련의 작품들을 통해 미술과 사회, 그리고 우리의 인식 구조에 대한 재고를 요구해 왔다. 이번에 보여준 작업들은 대부분 미술 작품과 현실적 삶의 실천 방법간의 관계를 밀접하게 발전시키고, 구조주의자들의 그것과 유사하게도 사회적 인식 구조를 바탕으로 실제 삶과 의식간의 거리를 현상적으로 다루고 있다. 특히 그 자신이 강조하고 있듯 신체를 매개물로 개입시킴으로써 이를 구체화하는 한편, 현대사회의 이기적이고 부조리한 사고 구조 속에 던져진 자신의 존재-작가라는 사회적 존재로서의 입장과 태도를 암시하고 있다. 공허의 현장과 침묵의 시간을 TV 모니터에 남기면서 말이다.

Ah Kwangju, video installation, no sound, 1995

Big mouth, video installation, sound, 1996 

Like the Buddha's mind, performance with 2 monitors, no sound, 1996

 <epilog, " LODZ GHETTO">, openning performance, installation with Bible and blacklight, 1996

bottom of page